도쿄 올림픽에서 태권도 종목이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는 질타가 쏟아지는가 하면, 그런 보도에 대한 반성도 등장합니다. <br /> <br /> <br />* 도쿄올림픽 태권도 보도 속 1등 지상주의 <br />* 태권도 연이은 탈락에 ‘대망신' 표현까지 등장 <br />* "종주국 자존심을 지키지 못했다" 질타 <br />- 미디어오늘, 26일 <br /> <br />그런데 태권도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이 눈길을 끕니다. <br /> <br /> - 중앙일보, 26일 <br /> <br />올림픽에서 태권도 한 종목만 출전하는 나라들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태권도가 올림픽종목이 아니었으면 어찌했을까요? <br /> <br />* 2000년 이후 12개 국가, 사상 첫 올림픽 메달을 태권도에서 (가봉·코트디부아르·요르단 등) <br />* 값비싼 장비 필요 없는 대중 스포츠 <br />* 올림픽 종목 중 가장 관대하고 놀라운 다양성 <br />- 뉴욕타임스, 25일 <br /> <br />그런데 이 뉴욕타임스 기사가 왜 흥미롭고 의미가 있는 기사인가? <br /> <br />"태권도는 혼란 그 자체" <br />- 점수가 어떻게 나는지 도대체 모르겠다 <br />- 예절 중시, 경기 흐름 끊고 지치게 만든다 <br />- 영어나 프랑스어로 하면 안 되는 건가? <br />- NYT, 2012년 8월 11일 <br /> <br />10년 전 이랬던 뉴욕타임스가 태권도의 가치를 달리 본 겁니다. <br /> <br />이제 태권도는 올림픽 핵심 종목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* 세계태권도연맹에 210개국 소속 (난민 대표 포함) (요르단, 터키, 르완다 난민캠프에 전용 훈련장) <br />* 도쿄올림픽에도 난민팀 선수 3명 등 61개국 참여 <br />* 훈련에 빈부 격차 없어 각국 문화와 접목 용이 <br /> <br />태권도 종주국으로서 한국 언론은 태권도에서의 우리 메달 수가 아니라 태권도의 발전 과제에 더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. <br /> <br />* 더 다이내믹하고 흥미로울 수 없을까? <br />* 국제적으로는 대단하나 국내에선 어린이 위주 <br />* 태권도 산업은 성장하고 있나? <br />* 태권도 공적개발원조와 지도자 육성·파견 <br /> <br />올림픽을 계기로 성적 지상주의를 벗어나 이런 논의를 확산시키는 게 태권도 종주국 언론이 해야 할 일이 아닐까요? <br /> <br />변상욱의 앵커 리포트였습니다.<br /><br />YTN 변상욱 (byunsw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7_20210726202753153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